• 최종편집 2024-03-12(화)

정보뉴스
Home >  정보뉴스  >  문화/연예

실시간뉴스
  • 돌아온 '대동여지도', 조선의 꿈을 그리다
    대동여지도(전체 펼친 모습)   [시니어투데이] 문화재청은 3월 30일 오전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언론에 공개한다.이번 환수는 해당 유물 소장자가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그 존재가 확인됐으며, 정보 입수 이후 문화재청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과 수차례에 걸친 재단의 면밀한 조사, 관계자간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올해 3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대동여지도》는 조선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전문 출판자인 김정호(金正浩, 1804 추정〜1866추정)가 1861년에 처음 제작·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의 병풍식 전국 지도첩이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1864년 제작된 목판본에 가필, 색칠하고《동여도》에 기술되어 있는 지리정보를 필사(筆寫)해 추가한 것으로,《동여도》와 《대동여지도》가 하나의 지도에 담겨져 있다.《동여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의 저본(底本)으로 삼았던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전도로, 조선시대의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의 지리 정보와 약 1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는 채색 필사본이다. 이에 반해 《대동여지도》는 목판으로 새겨야 하는 한계 때문에 많은 지명들과 주기(註記)가 생략되어 있다.이번에 환수된 지도는 목판본인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동여도》의 주기 내용을 필사해 보완한 최초의 사례로 확인되며, 《대동여지도》가 보급되면서 변용된 형태로 추정된다. 국내에 소장되어 있는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구성과 내용을 가지고 있기에 이번 환수는 더 큰 의미를 가진다.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번 유물은 총 23첩(목록 1첩, 지도 22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동여도》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일반적인 《대동여지도》는 목록이 따로 없으며 22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를 남북으로 120리 간격으로 구분하여 22층을 만들고, 각 층을 병풍식으로 접을 수 있는 첩으로 만든 것은 《동여도》와 《대동여지도》가 같다.무엇보다도 가장 주목할 것은 《동여도》의 주기 내용이 대부분 필사되어 상세한 지리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백두산 일대가 묘사되어 있는 제2첩의 경우 《대동여지도》 판본에는 없는 ‘백두산정계비’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필사되어 있다. 또한 울릉도 일대가 묘사되어 있는 제14첩에는 《대동여지도》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울릉도로 가는 배의 출발지 등의 내용이 필사로 적혀 있다.세부적인 구성에서도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대동여지도》의 지도유설은 1첩에 간인(刊印)되어 있으나 이번 유물은 지도의 빈 공간에 필사되어 있으며 그 내용도 동여도의 것과 같다. 또한 《대동여지도》 판본에서는 2면에 걸쳐 인쇄되어 있던 강원도 삼척부와 울릉도 일대가 1면으로 축소되어 배치되어 있는 점은 《동여도》의 배치 형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이번에 공개된 《대동여지도》는 국내에서 최초 확인된 《동여도》의 주기 내용이 필사된 《대동여지도》 판본이며, 국내 소장된 《대동여지도》 갑자본과 《동여도》가 희소하다는 점 등으로 볼 때 조선의 지도 제작과 활용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 자료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지리 정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문화재청과 재단은 이번 환수 및 공개가 조선시대 과학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적극행정과 현지 협력망 확대를 통해 국외 중요 한국문화유산의 발굴과 환수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매입은 정부혁신 사업으로 복권기금으로 추진됐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3-04-03
  • 140년 만에 확장 가상 세계 속에서 복원된 조선 관청 ‘군기시(軍器寺)’
    군기시 AR 체험     [시니어투데이] 문화재청은 서울시, 우미희망재단(이사장 이석준), 제일기획(대표이사 김종현)과의 민관협력으로 140년 만에 조선시대 중앙관청 ‘군기시(軍器寺)’를 디지털로 복원한 문화유산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 체험관의 공개행사를 2월 15일 오전 10시 30분 서울시민청(군기시유적전시실 등)에서 개최한 후 일반인에게 공개한다.‘군기시’는 1392년(태조 1년) 설치된 중앙관청으로, 조선시대 군수물자 연구·개발·제조 및 보급‧관리의 기능을 담당했다. 1884년(고종 21년) 기기국(機器局)에 흡수되어 폐지된 후 일제강점기에 ‘군기시’ 자리는 태평로 확장으로 중심영역이 사라지고 태평로 동쪽 영역은 경성일보 사옥, 경성부청사가 건립되면서 그 흔적이 완전히 사라졌다. 2009년 서울시 신청사 건축 과정에서 관련 유물이 대량 발굴되어 현재는 군기시가 있던 옛 자리 일부를 서울시민청 내 군기시유적전시실로 운영하고 있다.군기시 디지털 협력사업은 지난 2019년 한양도성 ‘돈의문’ 디지털 복원‧활용 사업에 이은 두 번째 성과물로, 문화재청, 서울시, 우미희망재단, 제일기획의 역할분담과 상호협력을 통해 추진됐고, 특히 역사 분야(이왕무 경기대 교수‧이근호 충남대 교수), 건축 분야(김왕직 명지대 교수)의 자문위원과 스코넥(가상현실)‧애니팬(증강현실) 등의 전문기업이 검증‧자문에 참여하여 역사고증과 디지털 복원‧재현의 완성도를 높였다.이번 사업을 통해 군기시 발굴유적지에서 증강현실(AR)로 군기시 건물 7채를 복원했고 관람객은 문화유산 확장 가상 세계 응용프로그램 ‘헤리버스 공존’을 통해 증강현실(AR)로 복원된 군기시 건물과 무기류(신기전‧변이중화차 등), 건물 내부의 무기 제작과정을 체험‧관람할 수 있다.    또한, 군기시 유적전시실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자신만의 분신을 만들어 군기시 관람이 가능하며, 현장 관람객과 문화유산 디지털 공간에서 자유롭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도 있다. ‘헤리버스 공존’은 현재 애플 앱 스토어에서 내려받기 가능하며, 구글 플레이스토어에는 곧 출시 예정이다.군기시 유적전시관 운영시간은 오전 9시~오후 8시(단, 가상현실(VR) 체험 공간 운영시간은 월~토, 오전 10시~오후 7시)이다.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가유산의 디지털 혁신과 적극행정의 민관협력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문화유산 복원과 함께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역사문화관광, 문화유산교육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3-02-15
  • 문화재청, '임진왜란 웅치 전적' 사적 지정
    < 임진왜란 웅치 전적 전경     [시니어투데이] 문화재청은 전라북도 완주군․진안군에 위치한 '임진왜란 웅치 전적'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했다.'임진왜란 웅치 전적'은 임진왜란 초기(1592년 7월) 전라도를 침략한 왜군에 맞서 관군 및 의병이 민관 합동으로 호남을 지켜낸 ‘웅치 전투’가 발생한 곳으로 호남 방어에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초기의 열세를 극복하고 조선군이 결국 승전하게 되는 국난 극복의 전적지로 평가된다.‘웅치’는 완주군과 진안군 사이 고갯길의 지명으로 웅치 일대의 옛길은 전주와 전라도 동부지방인 진안 등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됐다.'선조실록'등 여러 문헌에 기록된‘웅치’는‘웅현’,‘웅령’으로도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는‘곰티’또는‘곰치’로 불리기도 한다. 특히 조경남의 '난중잡록'에는 전투가 일어난 지리적 위치가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전주 전 만호 황박이 모집한 군사 200명을 모아 웅현에 복병했는데 웅현은 바로 전주와 진안의 경계였다. 이때에 이광이 나주 판관 이복남, 김제 군수 정담 등으로 복병장을 삼아 웅현을 파수케 했는데 황박이 가서 조력한 것이다.지난 7월 개봉한 영화‘한산’을 통해 재조명된 웅치 전투는 임진왜란 초기 진안을 거쳐 전주를 공격해오던 왜군을 진안과 전주의 경계였던 웅치 일대에서 막아서며 전개됐다. 왜군은 결국 웅치를 넘어 전주 부근까지 진출했으나 전투 과정에서 많은 전력을 상실하여 전면적인 공격을 진행할 수 없게 됐다. 이는 전주를 공격하여 전라도 일대를 장악하고자 했던 왜군의 전략을 무력화시켰다는 점에서 승패를 떠나 국난 극복의 전적지로서 의미를 가진다.웅치 전투를 통한 호남 수호 이후, 관군과 의병이 경기도와 경상도로 진출하여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전쟁에 필요한 각종 물자를 호남 지역으로부터 조달하는 등 임진왜란 극복의 계기를 마련했다.문화재청은 전라북도 완주군․진안군과 협력하여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임진왜란 웅치 전적'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3-01-03
  • 문화재청, 민족의 성군, 세종대왕의 625주년 탄신을 기리다
        [시니어투데이]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소장 박판용)는 오는 15일 오전 11시부터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 영릉(英陵, 세종과 소헌왕후)에서 세종대왕 탄신 625돌을 기념하는 숭모제전(崇慕祭典)을 개최한다. 숭모제전은 한글 창제를 비롯하여 국방, 과학, 예술 등 여러 방면에서 훌륭한 업적을 남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군으로 추앙받고 있는 세종대왕의 탄신일(양력 5월 15일)을 기리는 행사이다.세종대왕릉 정자각에서 거행되는 숭모제향(崇慕祭享)은 ▲ 초헌관의 분향과 헌작, ▲ 축관(祝官)의 축문 낭독, ▲ 문화재청장의 대통령 명의 화환 헌화와 분향, ▲ 축사의 순서로 진행된다.또한, 역사문화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세종대왕의 북방 영토 개척을 주제로 한 기획전시 ‘세종, 우리 옛 땅을 되찾다’를 6월 26일까지 개최한다.숭모제전이 열리는 15일이 휴일(일요일)인 점을 고려하여 행사장 내에 일반관람객의 참관을 위한 별도 공간을 마련할 예정이며, 세종대왕의 탄신을 기리는 뜻으로 세종대왕 영릉(英陵)과 효종대왕 영릉(寧陵, 효종과 인선왕후)을 국민에게 무료로 개방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앞으로도 세계유산인 영릉(英陵)과 영릉(寧陵)을 온전히 보존하고, 다양한 활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세종대왕의 위업을 선양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2-05-13
  • 문화재청, 3년에 걸친 경복궁 향원정 복원 완료
    [시니어투데이]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왕과 왕비의 휴식처인 경복궁 향원지(香遠池)의 향원정(香遠亭)과 취향교(醉香橋) 복원을 3년 만에 완료하고 5일 언론에 공개한다.취향교는 건청궁에서 향원정으로 건너갈 수 있도록 향원정의 북쪽에 세워진 다리였으나, 한국전쟁 때 파괴되고 나서는 1953년 관람 편의를 위하여 본래 위치(향원정 북쪽)가 아닌 향원정 남쪽에 세워졌다가 이번에 원래의 자리를 찾아 복원되었다. 이전에는 석교 교각에, 목재 난간을 갖춘 평교형태였다가 이번에 아치형 목교로 제 모습을 찾았다.향원정은 오랜 시간에 걸쳐 낡고 기울어지면서 지난 2012년 정밀실측조사를 시작으로 주기적으로 안전진단을 받다가 2018년 11월부터 보수공사에 들어가 총 3년 간의 공사 끝에 이번에 본래 모습을 되찾았다.그동안 경복궁 향원정과 취향교는 정확한 창건연대 기록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1887년(고종 24년)의 ‘승정원일기’에 ‘향원정’이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하면서 건립 시점을 1887년 이전으로 추정해 왔다. 하지만, 이번 복원공사에서 실시한 목재 연륜연대조사를 통해 1881년과 1884년 두 차례에 걸쳐 벌채된 목재가 사용된 것이 확인되어 건립 시기를 추정하는 근거가 마련되면서 향원정 건립 시기는 1885년으로 추정하게 되었다.이번 복원작업을 통해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구들의 구체적인 형태와 연도(煙道, 연기가 나가는 통로)의 위치 등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현재 남아있는 유구를 그대로 활용하여 향원지 호안석축 외부와 연결된 낮은 형태의 굴뚝을 복원하였고, 배연실험으로 아궁이에서 연도를 통해 연기가 자연스럽게 빠져나가는 것도 확인하였다.또한, 향원정의 6개 기둥 중 동남방향 초석(楚石, 주춧돌)에 대한 조사를 통해 건물 기울어짐의 주요원인이 초석을 받치는 초반석의 균열로 인한 초석 침하현상이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복원과정에서는 전통방식의 말뚝기초 시공을 통해 지반을 보강하였으며, 향원지 영역의 옛 사진을 분석하여 변형·훼손된 절병통, 창호, 능화지, 외부 난간대 등을 복원했다. 또한, 과학적 실험을 통해 향원정의 원형 단청도 확인하였는데,  향후 단청안료에 대한 추가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취향교 복원과 향원정 보수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경복궁 2차 복원정비사업과 함께 경복궁의 문화재적 가치와 역사성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가까운 시일 내에 국민에게도 복원된 향원정 내부와 취향교를 공개할 계획이다.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법궁(法宮) 경복궁의 원래 모습을 되찾기 위해 복원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민족문화유산의 품격과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경복궁이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대표 궁궐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1-11-05

실시간 문화/연예 기사

  • 코로나19로부터 아이들 지키는 방법은?
      [시니어투데이] 코로나19로부터 자녀들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 공개된다. 11일 방송되는 JTBC ‘차이나는 클라스 – 질문 있습니다’(이하 ‘차이나는 클라스’)에서는 대한민국에 감염병 위기가 찾아올 때마다 선봉에 섰던 김우주 교수가 건강하게 바이러스를 이겨내는 방법을 주제로 문답을 펼친다. 현재 코로나19의 여파로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는 사상 초유의 3주 휴원, 휴교령이 내려진 상황이다. 아이들 걱정에 부모님들의 불안은 갈수록 커져만가는 가운데, 대한민국 부모를 대표해 찾아온 뮤지컬 배우 홍지민이 질의응답을 나눈다. 최근 진행된 ‘차이나는 클라스’ 녹화에서 두 아이의 엄마인 홍지민은 “휴교령이 끝나면 아이들이 모이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정말 보내도 될지 고민이다” “집에만 있을 때는 아이들 건강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 등 세심하게 질문을 이어갔다. 오상진 역시 신생아인 아이 걱정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현재 전국 어린이 감염자는 66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0.9%에 해당한다. 김우주 교수는 “아이들은 염려만큼 고위험군이 아니다”라고 설명하며 “부모가 건강을 챙기는 것이 아이들을 지키는 방법이다”라고 덧붙였다. 김우주 교수가 전하는 코로나19로부터 아이들을 건강하게 지키는 진짜 방법은 본 방송에서 공개된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 – 질문 있습니다’는 3월 11일 밤 9시 30분에 방송된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3-11
  • ‘마리 퀴리’, ‘세계 여성의 날’ 기념 특별 행사
      [시니어투데이] 뮤지컬 ‘마리 퀴리’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진행한 특별한 행사로 눈길을 끌었다. 지난 8일 뮤지컬 ‘마리 퀴리’ 측은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고, 그 의미를 되새기며 당일 전 관객에게 빵과 장미를 전달했다. 세계 여성의 날은 1908년 2월 28일 미국의 여성 노동자들이 작업장에서 화재로 사망한 동료들을 기리며 생존권과 참정권을 요구한 대규모 시위로 시작되었다. 이후 세계 각국에서 여성의 인권과 지위 향상을 위해 여성의 날을 기념했고, UN에서는 3월 8일을 공식적인 ‘세계 여성의 날’로 선정했다. 당시 여성들은 생존권을 의미하는 ‘빵’과 참정권을 의미하는 ‘장미’를 들고 거리로 나왔다. 뮤지컬 ‘마리 퀴리’는 이러한 의미를 담아 8일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에게 빵과 장미를 전달했으며, 배우들의 무대 인사를 통해 ‘세계 여성의 날’의 의미를 되새겼다. 뮤지컬 ‘마리 퀴리’ 측은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해 관객분들에게 빵과 장미를 준비했습니다. 뮤지컬 ‘마리 퀴리’는 모든 여성들의 꿈을 응원하며 지지합니다.”라고 전했다. 이날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은 “마리 퀴리를 보고 나오는 길에 장미랑 빵을 받고 다시 감격했다.(cpf*****)”, “공연만으로도 가슴 벅차는데 빵과 장미의 의미에 감동하고, 감사하며 살게 한다.(der******)”, “세계 여성의 날이라고 꽃과 빵을 챙겨주셔서 감동이 두 배가 되었다. 꽃과 빵의 의미를 마리한테 직접 들으니까 눈물이 나더라.(han*******)” 등의 반응을 보였다.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마리 스클로도프스카 퀴리’와 라듐시계 공장의 직공 ‘안느 코발스키’를 중심으로 두 여성 등장인물의 연대를 작품 전반에 녹여낸 뮤지컬 ‘마리 퀴리’는 최근 ‘웰메이드 여성 서사극’으로 큰 호평을 받고 있다. ‘마리 퀴리’의 과학자로서의 업적 이면에 인간적인 고뇌와 갈등을 ‘안느’라는 가상의 인물과의 연대로 풀어낸 서사는 관객들에게 가슴 벅찬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세계 여성의 날의 의미를 되새기는 뜻깊은 행사로 이목을 집중시킨 뮤지컬 ‘마리 퀴리’(연출 김태형, 제작 라이브㈜)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자로 꼽히는 ‘마리 퀴리’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여성, 이민자라는 사회적 편견 속 역경과 고난을 이겨낸 ‘마리 퀴리’의 삶을 조명함으로써 두려움에 맞서고 세상과 당당히 마주한 여성 과학자의 성장과 극복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뮤지컬 ‘마리 퀴리’는 오는 3월 29일까지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에서 공연되며, 3월 11일 마지막 티켓 오픈을 진행한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3-09
  • 영덕 양성리(洋城里)유적에서 고려의 해안 방어시설 확인
    [시니어투데이]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재)성림문화재연구원(원장 박광열)에서 발굴조사하고 있는 고속국도 제65호선 포항~영덕간 건설공사(제3~5공구) 내 영덕 양성리유적에서 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 시대 성곽이 확인되었다.  해안으로부터 서쪽으로 1㎞가량 떨어진 낮은 야산(해발 56m)의 정상부에 자리한 영덕 양성리유적은 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과 연계하여 장사상륙작전이 진행된 장사해수욕장 일원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번에 확인된 고려 시대 성곽은 야산 정상부의 약간 아래쪽 부분을 원형으로 돌아가며 땅을 굴착하고 성벽을 쌓아 올린 테뫼식 성곽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계곡을 가로막아 만든 동쪽 성벽까지 고려하면 테뫼식과 포곡식(包谷式)이 혼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성곽은 둘레 약 400m, 내부 면적은 1만㎡가량으로 일반적인 성곽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라 중요 거점을 보호하기 위해 축조된 보루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성벽은 흙과 돌을 섞어 쌓는 토석혼축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높이 2.6m, 너비 7m 정도가 남아있다. 성 안쪽에 해당하는 내벽의 경우 땅을 굴착하지 않고 자연지형에 30∼50㎝가량의 산돌과 냇돌을 3~5단 정도 안으로 들여쌓기하여 경사지게 조성되었다. 반면 지대가 낮은 아래쪽 외벽은 원래 지형 일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후 바깥쪽으로 산돌과 냇돌을 쌓고 그 안쪽으로는 점토와 모래가 많이 섞인 사질토를 20차례 이상 엇갈리도록 수평(판축형태)으로 다져 넣어 쌓았다. 한편 남쪽과 남동쪽 성벽의 외벽 바깥쪽에서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420~470㎝)으로 편평한 냇돌을 두었는데, 목책 기둥을 놓기 위한 시설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서 볼 때 양성리 성곽은 성벽 외벽에 보조적 방어 시설인 목책(木柵, 말뚝을 울처럼 두른 형태)을 두른 형태로 축조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목책 관련 시설 주변으로 불에 그슬린 흔적 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목책은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곽 내부에서는 건물지(창고‧망루시설) 12기, 배수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해안이 조망되는 성곽의 정상부에는 사각의 망루 시설을 만들었고, 그 동쪽으로 온돌을 갖춘 건물지 4동을 조성하였다. 이와 함께 남쪽 성벽 내벽을 따라 사각형의 건물지 7기를 일렬로 배치하였는데, 이 중 일부는 화재로 소실된 후 건물을 다시 조성하여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4호 건물지 내부에서는 디딜방아 시설과 함께 다량의 탄화미가 확인되고 있어 곡식 창고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과거 문헌 기록들에서 이번 양성리유적 성곽이 언급된 것은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고려사?(高麗史)에‘왜구가 강릉부(江陵府) 및 영덕현(盈德縣)ㆍ덕원현(德原縣)을 노략질하였다.(세가 권43 1372년 6월6일), 왜구가 송생(松生)ㆍ울진(蔚珍)ㆍ삼척(三陟)ㆍ평해(平海)ㆍ영해(寧海)ㆍ영덕(盈德) 등지를 침략하고, 삼척현을 불살랐다.(권134 열전 권제47 1381년 3월)’라는 기록을 볼 때, 양성리 일원 주변 역시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양성리유적에서 확인된 성곽은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하여 해안가 조망이 유리한 곳에 축조한 당시의 해안 방어시설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성리유적 성곽은 동해안 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고려 시대 토석혼축 목책성곽이라는 점과 더불어 성곽 내 건물의 배치, 성벽 축조기법과 구조의 특이함 은 그 당시 성곽축조 방법과 구조 변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발굴현장은 코로나 19(COVID-19) 진행 추이를 검토하여 추후 일반인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3-05
  • tvN '방법', 자체 최고 시청률 경신!
      [시니어투데이] tvN ‘방법’가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며 케이블·종편 동 시간대 1위에 등극했다. 특히 조민수가 엄지원을 납치해 본격적인 정지소 잡기에 나선 가운데 포레스트 상장과 ‘저주의 숲’ 명단, 해시태그 놀이에 얽힌 섬뜩한 진실이 수면 위로 드러나 폭풍처럼 휘몰아치는 전개가 펼쳐졌다. 엄지원-정지소의 위기에 긴장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린 지난 7회 방송은 케이블, IPTV, 위성을 통합한 유료플랫폼 가구 평균 4.2%, 최고 4.9%를 기록,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며 케이블과 종편을 포함한 동 시간대 1위를 차지했다.    tvN 타깃인 남녀2049 시청률에서도 평균 2.5%, 최고 3.1%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남녀 10-50대 전 연령에서 케이블과 종편을 포함한 동 시간대 1위를 기록하며 호평을 이끌어냈다. (유료플랫폼 전국기준/닐슨코리아 제공) 지난 2일 방송된 tvN 월화드라마 ‘방법’에서는 백소진(정지소 분)을 잡기 위해 임진희(엄지원 분)를 납치한 진경(조민수 분)의 네버엔딩 악행과 함께 포레스트 상장에 맞춰 몸에 깃든 악귀를 옮기려는 진종현(성동일 분)의 계략이 드러나는 등 연이어 터지는 시한폭탄 같은 위기가 매 순간 숨멎을 유발했다. 이날 진경은 포레스트 상장에 맞춘 대규모 굿을 위해 강력한 신기를 가진 다국적의 무당을 섭외하며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하지만 진경이 믿었던 ‘애동제자’ 천주봉(이중옥 분)의 배신을 알게 되면서 긴장이 몰아쳤다. 진경은 천주봉을 일본의 오토모 도사에게 소개하지만 오히려 그에게 “이 사람은 자네를 모시고 있지 않는데? 최근에 자네보다 훨씬 더 큰 신을 모시고 있는데”라는 청천벽력 같은 사실을 듣게 된 것. 천주봉의 뜻하지 않은 배신에 치를 떨던 진경은 “사람 믿지 말자고 그렇게 다짐했었는데 네가 악귀한테 붙어 먹어?”라고 분노를 쏟아냈고, 급기야 천주봉에게 검은 저주를 내려 시청자들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다. 임진희-백소진 또한 진종현-진경의 계략에 서서히 다가가는 모습으로 시청자들의 손에 땀을 쥐게 만들었다. 천주봉에게 입국장 명단을 받은 임진희는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직감, 장성준(정문성 분)과 함께 무속신앙에 해박한 민속학 교수 탁정훈(고규필 분)을 찾아가 진경으로부터 압수 수색한 신물의 감정을 의뢰했다.    탁정훈은 “몸에서 악귀를 쫓는 부적과 씌우는 부적이 함께 있다”며 신물에 관한 놀라운 사실을 전했고, 이에 임진희는 “진종현이 몸을 옮기려고 하는 거야”라고 포레스트 상장날 대규모 굿과 함께 진행될 진종현의 섬뜩한 계략을 알게 돼 혼란을 금치 못했다. 이와 함께 포레스트 설립 당시부터 축적된 ‘저주의 숲’ 명단과 저주를 의뢰하는 해시태그 놀이가 ‘악귀’ 진종현이 몸을 옮기는데 주요하게 작용할 것을 예고해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그런 가운데 방송 말미 진경이 임진희를 납치하며 긴박감의 연속을 이어갔다. 진경이 천주봉을 이용해 임진희를 꼬여내는 등 마지막까지 방심할 수 없는 미친 전개가 압도적인 몰입도를 자랑했다. 더욱이 이를 백소진이 목격하게 된 가운데, 백소진이 진경의 손아귀에서 ‘운명공동체’ 임진희를 어떻게 구해낼지 향후 전개에 귀추가 주목된다. 방송이 끝난 후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및 SNS에서도 “무서운데 스릴 있어요”, “최애 드라마! 월화만 기다려진다”, “정주행하고 못 헤어나오는 중. 숨죽여서 보고 있어요”, “조민수, 성동일 연기 아주 일품”, “엄지원 등 배우들이 연기를 너무 잘해서 드라마가 훨씬 무섭네”, “시원시원하고 짜릿한 전개! 다음 회가 항상 기대되는 드라마” 등의 뜨거운 호평이 쏟아졌다. 한편 tvN 월화드라마 ‘방법’은 한자 이름, 사진, 소지품으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저주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10대 소녀와 정의감 넘치는 사회부 기자가 IT 대기업 뒤에 숨어 있는 거대한 악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3-04
  • 고려 국왕의 국새(고려국왕지인) 찍힌‘과거합격증’보물 지정 예고
      [시니어투데이]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630년 전에 발급된 고려 시대 과거합격증인 ‘최광지 홍패’ 1점과 고려 후기 선종(禪宗) 경전인 ‘육조대사법보단경’ 1책 그리고 조선 후기 ‘백자 항아리’ 1점 등 전적 2점과 도자기 1점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최광지 홍패(崔匡之 紅牌)’는 고려 말∼조선 초에 활동한 문신 최광지(崔匡之)가 1389년(고려 창왕 1년) 문과 ‘병과 제3인(丙科 第三人, 전체 6등)’으로 급제하여 받은 문서로서, 약 630년 전 고려 말에 제작된 매우 희귀한 사료다. 홍패에는 '성균생원 최광지 병과 제삼인 급제자'(成均生員 崔匡之 丙科 第三人 及第者)와 '홍무 이십이년 구월 일'(洪武 貳拾貳年 玖月 日)이라는 문장이 두 줄로 적혀 있으며, 발급연월일 위에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이라는 국새(國璽)가 찍혀 있다. 고려 시대 공문서에 이 직인이 찍힌 사례는 ‘최광지 홍패’가 지금까지 유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조선 개국 직후인 1392년(조선 태조 1년) 10월에 태조 이성계가 개국공신 이제(李濟, ?~1398)에게 내린 ‘이제 개국공신교서’(국보 제324호)에 ‘고려국왕지인’이 사용된 사실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고려 시대 홍패는 총 6점으로, 시기는 모두 ‘최광지 홍패’ 보다 빠르지만 관청에서 왕명을 대신해 발급했기 때문에 국왕의 직인이 없다는 점이 다르다.    문서의 형식과 성격 측면에서도 ‘왕지(王旨, 왕명)’라는 문서명과 국왕의 인장이 찍힌 정황으로 보아 임금의 명령을 직접 실천한 공식문서로서 완결된 형식을 갖추고 있다. 이렇듯 왕명의 직인이 찍혀 있고 형식상 완결성을 갖춘 예는 ‘최광지 홍패’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은 후대로 계승되어 조선 시대 공문서 제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최광지 홍패’는 1276년(고려 충렬왕 2년) 부터 과거합격증에 ‘왕지(王旨)’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했다는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을 처음 확인시켜 준 실물이다. 또한, 조선 시대 문서제도와 관련성이 밀접하다는 점에서 역사ㆍ학술 가치와 희소성이 인정되어 보물 지정 가치가 충분하다. ‘최광지 홍패’와 같이 이번에 보물로 지정예고된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은 1책(64장)으로, 1290년(충렬왕 16)년 원나라 선종의 고승 몽산덕이(蒙山德異, 1231∼1308)가 편찬한 책을 고려 수선사(修禪社)에서 당시 제10대 조사(祖師)인 혜감국사 만항(萬恒, 1249∼1319)이 받아들여, 1300년(충렬왕 26년) 강화 선원사(禪源寺)에서 간행한 판본이다. 현재 경상남도 사천시 백천사에 소장되어 있다. ‘육조대사법보단경’은 혜능의 선사상을 이해하거나 선종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경전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19세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간행되었으며, 백천사 소장본은 우리나라에 전래된 관련 경전 가운데 시기적으로 가장 이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선 시대에 보이는 ‘덕이본(德異本)’ 계열의 책들과도 판식(板式 또는 版式)의 차이점이 보여 고려 시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육조대사법보단경’은 선종의 핵심사상을 파악할 수 있는 지침서이자 한국 선종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불경으로 불교사에서도 중요하며, 이 중 백천사 소장본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같은 종류의 경전 중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가치가 높다. 따라서 불교학 연구는 물론, 고려 시대 말기 목판인쇄문화를 규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학술‧서지학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므로 보물로 지정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보물로 이번에 지정예고된 부산박물관 소장의 ‘백자 항아리(白磁 大壺)’는 부산박물관 소장으로, 조선 17세기 말∼18세기 초에 제작되었으며, 높이가 52.6cm에 이르는 대형(大形) 항아리다. 구연부와 어깨에 미세하게 금이 간 것을 수리하였으나 거의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형태는 좌우가 약간 비대칭을 이루고 있으나, 자연스럽고 당당하며, 담담한 청색을 띤 백색의 유약이 고르게 발라져 전체적으로 우아한 품격을 나타낸다. 이 ‘백자 항아리’는 안정된 기형(器形)과 우수한 기법 등으로 보아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의 관요(官窯, 왕실 도자기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관요백자의 제작기술이 완숙한 단계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자 지금까지 알려진 조선 후기 백자 항아리 중 크기와 기법 면에서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백자 항아리’는 50cm 이상 크기의 입호(立壺, 항아리 형태)로서의 희소성, 파손이나 수리가 거의 없었던 완전성, 비례가 알맞은 조형성과 정제된 유약, 번조(燔造: 도자기 굽기) 기법의 우수한 수준 등을 근거로 조선 시대 도자사(陶磁史)의 중요한 유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보물로 지정해 연구하고 관리‧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최광지 홍패」 등 총 3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3-03
  • 배우 혜리, 세이브더칠드런에 코로나19 피해 아동 위해 1억 기부
    [시니어투데이] 국제 구호개발 NGO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는 배우 이혜리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에 따라 위기를 겪고 있는 대구경북지역의 저소득가정과 조부모가정, 난민가정의 아동을 돕기 위해 1억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그룹 걸스데이 출신으로 드라마와 영화에서 종횡무진 활약하고 있는 배우 이헤리는 2016년 대구 서문시장 화재로 피해를 본 상인을 위해 5천만 원을 기부했으며, 지난해 크리스마스에는 질병으로부터 고통 받는 환아를 위한 치료비로 5천만 원을 기부하는 등 꾸준한 나눔과 기부로 선행 영향력을 펼쳐왔다. 배우 이헤리는 "코로나19 사태로 생필품과 필요한 지원이 부족해고통받는 아동들을 위해 후원금을 써주시길 부탁드린다." 며 "아이들을 돕기 위해 애써 주시는 모든 분들과 현장의 의료진께 감사드리며 모든 아이들이 건강하게 보내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재영 세이브더칠드런 후원개발부장은 “대구경북지역은 코로나19로 인해 시민들의 활동이 제한됨에 따라 저소득가정의 생계도 큰 위협을 받고 있다. 저소득가정과 조부모가정, 난민가정의 경우 아이도 함께 피해 상황에 놓이게 된다.”며, “배우 이혜리씨의 따뜻한 기부에 감사드리며, 모두가 힘을 모아 위기를 극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세이브더칠드런에 전해진 기부금은 대구경북지역의 저소득가정과 조부모가정, 난민가정의 아동들을 위해 긴급생계지원에 사용된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위기가정의 개별 상황에 따라 분유와 기저귀, 식료품과 의약품 등 생필품과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용품을 신속히 지원할 예정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2-28
  • 이국주, ‘억대 연 매출’ 비결 공개
      [시니어투데이] 시니어 모델 김칠두의 창업 고민을 둘러싸고 난장 토론이 펼쳐진 가운데, 이국주가 억대 연 매출 비결을 공개했다. 25일 방송된 JTBC ‘돈길만 걸어요 – 정산회담’에서는 66세 시니어 모델 김칠두가 세 번째 의뢰인으로 찾아왔다. 최근 진행된 ‘정산회담’ 녹화에서 김칠두는 ‘온라인 의류 쇼핑몰 창업 VS. 현재 하고 있는 모델 업무 전념’의 안건을 내놨다. 이어 돈반자들의 불꽃 토론이 펼쳐졌다. 마침 빅사이즈 의류 쇼핑몰 CEO로 활약하고 있는 이국주는 본인의 경험을 공유했다. 특히 “현재는 억대의 연 매출을 올리고 있다”라고 전해 모두를 깜짝 놀라게 했다. 하지만 “초기 3년 동안 돈을 가져가 본 적이 없다. 단순히 옷을 팔기만 하는 게 아니다. 재고, 반품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된다”라며 현실적인 조언을 덧붙였다. 경제 크리에이터 슈카는 “두려워할 것은 반품이 아니다. 사람들이 ‘(옷이) 예쁘냐 안 예쁘냐’를 이야기하게 한다면 성공한 것“이라고 반박해 토론 분위기를 고조 시켰다. 더불어 김종훈 변호사는 “요즘은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가 많이 있으니 운영에 관한 부분은 분담해도 된다”라며 쇼핑몰 창업에 대한 다양한 팁을 전하며 힘을 싣기도 했다. 이날 김칠두의 쇼핑 방법도 공개돼 눈길을 끌었다. 김칠두는 “옷 쇼핑은 주로 동묘에서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오늘도 동묘에서 구매한 2만 원짜리 구두와 유행이 지난 바지를 트렌드에 맞게 리폼해서 입고 왔다”라며 멋진 포즈를 선보였다. 또한 “결혼식 때 입었던 예복을 입고 최근에 화보를 찍었다”라며 사진을 공개했다. 과거와 현재 모두 완벽한 스타일링을 보여준 김칠두의 패션이 감탄을 자아냈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2-26
  • 코로나19 추가 확산 예방을 위해 국립공연장 등 휴관 실시
    [시니어투데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에 따른 공연장 내 감염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3월 8일(일)까지 국립중앙극장 등 5개 국립공연기관을 휴관하고 국립극단 등 7개 국립예술단체의 공연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코로나19에 대한 감염병 위기경보가 2월 23일(일)부터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격상된 데 따른 후속 조치이며,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공연예술계도 동참하기 위해 결정된 것이다. 3월 9일(월) 이후의 국립공연기관의 공연장 재개관 및 국립예술단체의 공연 재개 여부는 코로나19 확산 추이를 보며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문체부 박양우 장관은 지난 2월 20일(목) 대학로 소극장을 방문해 코로나19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예술인 긴급생활자금 융자 지원 등 공연업계 긴급 지원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한편, 휴관을 결정한 문체부 소관 국립 박물관·미술관·도서관도 휴관기간을 3월 8일(일)까지로 잠정하고, 이후의 개관 여부는 코로나19 확산 추이에 따라 결정할 예정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2-25
  • ‘국새 대군주보’‧‘효종어보’, 우리 곁에 돌아오다
    국새 대군주보’‧‘효종어보’   [시니어투데이]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조선의 자주국가 의지를 실현시키기 위해 1882년(고종 19년)에 제작한 국새 ‘대군주보(大君主寶)’와 효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740년(영조 16년)에 제작한 ‘효종어보(孝宗御寶)’를 지난 해 12월 재미교포 이대수(Lee Dae Soo, 84세) 씨로부터 기증 받아 최근 국내로 무사히 인도하였다. 대군주보는 높이 7.9cm, 길이 12.7cm 크기로 은색의 거북이 모양 손잡이(龜紐)와 인판(印板, 도장 몸체)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종실록』,『승정원일기』,『일성록』 등에 외교관련 업무를 위해 고종의 명에 따라 1882년에 제작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전까지 조선은 명과 청에서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국새를 받아 사용했으나, 고종의 명으로 ‘대(大)조선국’의 ‘대군주(大君主)’라는 글씨를 새긴 ‘대군주보’를 새롭게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고종이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1882년) 등의 당시 조선의 정세 변화에 발맞추어 중국 중심의 사대적 외교관계를 청산하고 독립된 주권국가로의 전환을 꾀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세부 자료 조사 결과, 대군주보의 공식적인 사용 시기는 1882년 제작 이후 1897년까지로 파악되었으며, 외국과의 통상조약 업무를 담당하는 전권대신(全權大臣)을 임명하는 문서(1883년)에 실제 날인된 예를 확인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 새롭게 제정된 공문서 제도를 바탕으로 대군주(국왕)의 명의로 반포되는 법률, 칙령(勅令), 조칙(詔勅)과 관료의 임명문서 등에 사용한 사실도 확인하였다. 높이 8.4cm, 길이 12.6cm 크기로 역시 거북이 모양 손잡이에 금색을 띤 효종어보는 영조 16년(1740년)에 효종에게 ‘명의정덕(明義正德)’이라는 존호를 올리며 제작된 것이다. 효종 승하 직후인 1659년(현종 즉위년)에 시호를 올렸고, 1740년(영조 16년)과 1900년(광무 4년)에 존호를 올렸으며 이때마다 어보가 제작되었다.    현재까지 효종어보 3점 중 1900년에 제작한 어보(국립고궁박물관 소장)만 전해오고 있었는데 이번에 1740년 제작 어보를 환수함에 따라 이제 1659년에 제작된 어보를 제외하고는 효종과 관련된 어보 2점은 모두 국립고궁박물관에 무사히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기증자인 재미교포 이대수 씨는 1960년대 미국으로 유학 후 줄곧 미국에 거주하면서 한국문화재에 관심이 많아 틈틈이 경매 등을 통해 문화재들을 매입하던 중 1990년대 후반에 이 두 유물들을 매입하였고, 최근 국새‧어보가 대한민국 정부의 소중한 재산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고국에 돌려보내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으로 기증을 결심하였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미주현대불교 발행인 김형근(64세) 씨와 경북 구미의 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 전 사무처장 신영근(71세) 씨는 기증자와 문화재청 사이에서 국새‧어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증의 방법과 형식, 시기 등을 조율하는 등 조력자 역할을 원만히 수행하여 두 유물이 돌아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조선 시대(대한제국기 포함) 국새와 어보는 총 412점이 제작되었으며, 이번에 돌아온 2점을 제외하고도 아직 73점은 행방불명 상태다. 국새·어보는 대한민국 정부의 재산으로 소지 자체가 불법인 유물로서, 유네스코 123개 회원국을 비롯하여 인터폴과 미국국토안보수사국 등에 행방불명 상태인 유물 목록이 공유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그동안 국새나 어보의 환수는 주로 압수나 수사와 같은 강제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이번 환수는 제3자의 도움과 소유자 스스로의 결심으로 이루어 낸 ‘기증’이라는 형식의 ‘우호적 환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문화재청은 이번 기증을 기점으로 도난된 국새·어보에 대한 안내문과 홍보 영상물을 제작·배포해 행방불명 상태인 문화재들에 대한 관심을 높여 나갈 예정이며, 이를 통해 국새·어보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환기시키고 기증을 통한 우호적인 환수도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이번에 돌아온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19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대상으로 첫 선을 보인 후, 오는 20일부터 3월 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실에서 일반 관람객에게도 공개될 예정이다.
    • 정보뉴스
    • 문화/연예
    2020-02-19
  • 여기가 거기? 서울시,‘기생충’투어코스로 신한류 열풍 잇는다
      [시니어투데이] 영화 ‘기생충’이 세계적 신드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난해 한국 영화 최초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을 시작으로, 미국 영화의 상징과도 같은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고의 영예인 작품상을 포함해 감독상, 각본상 및 국제영화상까지 총 4관왕을 수상하며, 전 세계는 말 그대로 ‘기생충’ 열풍에 휩싸여 있다. 이에,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이재성)은 영화 속 대표적인 서울 촬영지를 배경으로 ‘영화 전문가와 함께하는 팸투어’를 기획, 영화 속 숨은 이야기를 풀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벤트 성격의 팸투어 진행 후, 이를 관광 코스로 개발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우선 관광객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촬영지에 대한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포토존도 마련하여 관광객의 편의를 제공할 계획이다. 영화 속 주요 촬영지였던 마포구 ‘돼지쌀슈퍼’와 ‘기택 동네 계단’ - 종로구 ‘자하문 터널 계단’ - 동작구 ‘스카이피자’로 이어지는 ‘영화 <기생충> 촬영지 탐방코스’는 이미 지난해 12월, 서울관광 홈페이지(http://www.visitseoul.net/)를 통해 소개되어, 6만 뷰를 돌파했다. 뿐만 아니라, 서울시는 봉준호 감독의 또 다른 대표작품(괴물, 살인의 추억, 옥자, 플란다스의 개)의 서울 촬영지를 엮어 코스로 개발하고, 국내‧외 영화 팬, 영화 전문 리뷰어(인플루언서) 등과 함께하는 팸투어도 기획 단계에 있다.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영화 <기생충> 촬영지 탐방코스’를 통해 한국 영화의 위상을 제고하는 것은 물론, 한류도시 서울의 매력과 품격을 적극 알릴 계획이다. 또한, 제2의 ‘기생충’과 같은 한류 콘텐츠를 지속 발굴하고 기획하여, 더 많은 관광객 유치에 힘쓸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한류 관광 활성화 사업을 통해, K팝, K드라마, K뷰티, K푸드 등 세분화된 한류관광 정보를 매월 개발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웹사이트(http://www.visitseoul.net/)를 통해 다양한 어권으로 게재된 한류 코스를 참고하면 된다. 주용태 서울시 관광체육국장은 “새 역사를 쓰고 있는 영화 ‘기생충’의 서울 내 주요 촬영지는 국내뿐 아니라 외국 팬들도 찾는 성지순례 코스가 됐을 정도로 신드롬이자, 한류관광 그 자체”라면서, “K-POP, K-DRAMA에 이어 K-MOVIE까지 한류 콘텐츠에 대한 높은 세계적 관심이 현재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있는 우리 관광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정보뉴스
    • 사회
    2020-02-13
비밀번호 :